정부가 오늘 수도권 3기 신도시 입지를 발표했습니다. <br /> <br />넘치지만 꼭 필요한 정보, 뉴스큐 TMI! <br /> <br />박석원 앵커, 오늘은 수도권 신도시 역사를 정리했다고요? <br /> <br />주택 공급을 늘리고 폭등하는 집값을 안정화하기 위해 정부가 오늘 또다시 '신도시 카드'를 꺼내 들었습니다. <br /> <br />이번이 세 번째인데요. <br /> <br />우리나라 신도시의 역사는 1989년 노태우 정부 시절로 거슬러 올라갑니다. <br /> <br />당시 저금리, 저환율, 저유가 '3저 현상'과 함께 88 서울 올림픽 개최 등에 따른 대규모 도시 개발 사업으로 부동산 가격 폭등 현상이 일어났는데요. <br /> <br />이에 정부는 집값 안정과 주택난 해결을 위해 정권의 명운을 걸고 '주택 200만 호 건설 계획'을 공약으로 내세웠습니다. <br /> <br />당시 1기 신도시 부지로 선정된 곳이 지금도 신도시의 대명사로 여겨지는 경기도 일산과 분당, 산본, 중동, 평촌 다섯 곳인데요. <br /> <br />그때까지만 해도 서울 근교 허허벌판이었던 이곳에 대규모 아파트 단지가 들어서면서 주택 보급률은 1985년 69.8%에서 1991년 74.2%까지 상승하기도 했습니다. <br /> <br />1기 신도시는 서울 도심에서 반경 20km 정도 떨어져 서울로의 접근성이 우수하고 교통 여건도 좋았지만 자족 기능이 부족해, 신도시 주민들이 잠만 자는 이른바 '베드 타운'이라는 지적이 나오기도 했습니다. <br /> <br />안정화 되는듯했던 집값이 또다시 오르기 시작하면서 노무현 정부였던 2003년, 2기 신도시 사업이 다시 시작됐습니다. <br /> <br />서울에서 30km 정도 떨어진 경기도 김포, 파주, 화성, 판교, 평택, 인천 청라 등에 대규모 주택을 공급한 건데요. <br /> <br />하지만 상대적으로 서울과의 거리도 가깝고, 자족 기능을 갖춘 판교를 제외하면 나머지 지역은 광역 교통망이 제대로 갖춰지지 못해 수요 분산 효과를 내지 못했다는 평가가 나오기도 했습니다. <br /> <br />오늘 정부가 3기 신도시 부지를 발표했습니다. <br /> <br />남양주 왕숙과 하남 교산, 과천, 인천 계양 네 곳으로, 이 곳에 공급될 주택은 총 12만 2천 호에 이르는데요. <br /> <br />1,2기 신도시의 성공과 실패를 반면교사 삼아 실효성 있는 정책이 될 수 있을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1812191817529600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